enshittification (엔시트化)
배설물을 의미하는 shit에 ~이 되게 하다는 의미의 접두사 en 이 붙고, ~화(化)라는 의미의 접미사 ~fication이 붙은 신조어입니다.
양면시장 (two-sided market)으로 기능하는 온라인 플랫폼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
양질의 무료 콘텐츠로 사용자를 모은 온라인 플랫폼이 수익창출을 우선시하면서 이용자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결국 이탈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two-sided market(양면 시장) 두 개의 개별 사용자 집단을 가지고 각 집단에 네트워크 혜택들을 제공하는 중개 경제 플랫폼. 예를 들어 SNS라는 한 공간에서 정보를 찾는 사용자와 광고를 하는 기업, 이 두 그룹을 SNS플랫폼이 서로 연결해주며 그들이 상호작용을 하도록 하는 시장 |
용어의 역사
캐나다의 작가인 Cory Efram Doctorw(1971~)가 2022년 11월 15일 올린 블로그 글중 Social Quitting 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입니다.
이후 2023년 1월 wired.com에 The 'Enshittification' of TikTok 라는 기고문에 다음과 같은 말을 남깁니다.
Here is how platforms die: First, they are good to their users; then they abuse their users to make things better for their business customers; finally, they abuse those business customers to claw back all the value for themselves. Then, they die. I call this enshittification |
플랫폼이 죽는 것은 다음과 같다 : 처음에는 플랫폼 이용자들에게 잘 해주다가 나중에 비즈니스 고객들을 위해 이용자들을 이용해먹고 마침내 비즈니스 고객들마저 잠식해버린다. 그리고 플랫폼은 죽는다. 나는 이것을 엔시티피케이션 (엔시트化)라고 부른다. |
이용자들이게 편익을 주고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던 온라인 플랫폼이 사용자 경험보다 수익 창출을 우선시하면서 플랫폼의 품질과 사용자 경험이 저하되는 현상을 설명하는데 쓰는 용어입니다.
이용자들이 플랫폼을 떠나는 과정에 엔시트화가 있다고 닥터로는 말합니다.
온라인 플랫폼들은 이용자들이 최상의 경험을 쌓도록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여 이용자들을 늘렸고, 후에 광고주를 유치하고 플랫폼은 더 많은 이익 창출을 위해 광고를 계속 늘립니다.
이용자들은 플랫폼에서 형성한 네트워크 때문에 쉽게 떠나지 못하고 광고의 진흙 속에 파묻혀야 하고 광고주 역시 치열한 경쟁 속에 더 많은 광고비를 지출해야 합니다. 결국 이용자들은 떠나게 되는 현상이 나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모 검색엔진에서 식당을 검색하면 상단에는 광고비를 낸 식당들이 우선적으로 노출이 됩니다. 맛집이나 좋은 경험을 위해 검색을 했지만 결국 광고비 많이 쓴 곳을 우선적으로 우리는 보아야만 하는 것이지요. 유명 SNS들도 이제는 이용자들의 소통이나 콘텐츠가 아닌 광고의 무덤이 되어 가고 있는 현실입니다. 점점 enshittification 되어가고 있습니다.

참고 사이트
'영단어 어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rst Lady는 언제부터 쓰게된 말일까 (0) | 2024.03.06 |
---|---|
북미에서는 보름달을 계절마다 다르게 말합니다. (1) | 2024.03.04 |
Mamihlapinatapai(마밀라피나타파이)는 눈치싸움의 의미일까?? (1) | 2024.02.29 |
옥스퍼드 영어사전(OED)에 등재된 한국어들은 어떤게 있을까(연도별 정리) (0) | 2024.02.25 |
이모지 emoji가 일본어에서 온거였어? 🫢😂 (0) | 2024.02.23 |